<p></p><br /><br />여느 때와 다름없이 잠자리에 들 준비를 하고 있던 40대 부부의 집에 불청객이 들이닥친 건, 자정을 넘긴 늦은 밤이었습니다. <br> <br>아랫집 남자는 문이 열리자마자 흉기를 휘둘렀고 결국, 부부는 사건 현장에서 사망하고 말았습니다. <br> <br>지난해 층간소음으로 인한 민원 신고는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.<br> <br>누구든 피해자도 또 가해자도 될 수 있는 층간소음 문제. 실질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><br>Q1. 너무 끔찍한 사건이 발생했다. 가족 중 2명이 죽고 2명이 중상을 당했는데요. 어떻게 된 일입니까? <br><br>네. 사건은 지난달 27일. 자정을 조금 넘은 시간인 0시 30분쯤 발생했습니다. 전남 여수에서 30대 남성 정모 씨가 아파트 위층 이웃을 찾아가 흉기를 휘두른건데요. <br><br>무차별적인 흉기난동에 40대 부부가 사망하고 60대인 할아버지 할머니도 중상을 입었습니다. 10대 자녀들은 방 안에 숨어있었기에 목숨을 건질 수 있었습니다. <br><br>피의자 정 씨는 5년 전부터 피해가족과 층간소음 문제로 갈등을 겪고 있었습니다. <br> <br>3개월 전 흉기를 미리 준비했고, 현관문이 열리자마자 흉기를 휘둘렀다는 점에서 경찰은 계획범죄에 무게를 두고 수사 중입니다. <br><br>Q2. 그런데 다른 이웃들은 층간소음이 그리 심하지 않았다고 증언했다면서요? <br><br> 네, 잔혹한 범죄까지 저지를 정도면 층간소음으로 인한 갈등이 심각했다고 볼 수 있는데요. <br> 정작 다른 이웃들과 피해자의 지인은 '정 씨가 작은 소음에도 민감하게 반응했다'고 말하고 있습니다. 직접 들어보시죠 <br> <br>[이웃 주민] <br>"(위층) 할머니 할아버지가 엄청 신경쓰고, (소음을) 관리해요. 애들을. (아래층 남자가) 하도 그러니까." <br> <br>[피해자 지인] <br>"(피의자는) 조금만 걸어가도 전화하고, 엄청 예민해하고. (피해자들은) 남들한테 해코지 한 번도 없고요. 그 둘이 욕을 한 적도 없고요."<br> <br>Q3. 이웃들의 증언이 사실이라면 왜 살인까지 저질렀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데요. 피의자에게 정신적인 문제가 있었던 건 아닙니까? <br> <br> 정 씨는 범행 전 술을 마신 상태가 아니었고 특별한 정신병 병력도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<br> 다만 3차례 진행한 심리검사에서 정 씨가 내성적이고 은둔형이라는 판단이 나왔고, 2013년부터 홀로 은둔형 생활을 해온 것으로 전해져. 층간소음에 대한 분노와 스트레스가 계속 누적돼왔을 가능성은 있습니다. <br><br> 범행의 주된 원인이 층간소음인지 아니면 정 씨의 정신적인 문제인지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, 층간소음을 빌미로 범행이 이뤄진 것은 분명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<br>Q4. 층간소음으로 인한 강력 사건들이 매해 발생하고 있죠? 이제는 심각한 사회문제가 된 것 같습니다. <br> <br> 층간소음 살인사건이 처음 이슈화된 건 지난 2013년 서울 중랑구에서 50대 남성이 30대 형제 2명을 살해하면서부터입니다. <br><br> 이후로도 매년 2~3건의 층간소음으로 인한 살인, 폭행사건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. <br><br> 층간소음이 1년 넘게 지속된 경우 갈등이 폭행이나 위협으로 번지게 될 위험이 있습니다. 때문에 전문가들은 직접적으로 부딪치기보다는 제3자를 통해 중재를 받도록 권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차상곤 / 주거문화개선연구소장] <br>"갈등이 1년이 넘어가면 당사자들끼리 부딪쳤을때는 정말 폭행이나 살인 불미스러운 일로 넘어가게 되는데.직접 부딪치지 말고 상담을 받아서 접근방법을 강구하는 게 좋다." <br><br> 층간소음 문제를 참고 미루기보다는 <br>심각한 사건으로까지 번질 수 있다는 경각심을 갖고 보다 적극적인 해결에 나서는 것도 중요할 것 같습니다. <br> <br>사건을 보다, 이서현 기자였습니다.